맨위로가기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1898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나 1979년 사망한 독일계 미국인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이다. 그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나치즘에 협력한 마르틴 하이데거와 결별하고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합류했다. 마르쿠제는 헤겔, 마르크스, 프로이트의 사상을 융합하여 현대 사회와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독자적인 비판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기술 발전과 소비 문화가 인간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마비시킨다고 보았으며, '일차원적 인간', '억압적 관용', '대거부'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마르쿠제는 1960년대 신좌파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페미니즘에도 관심을 가졌다. 주요 저서로는 『이성과 혁명』, 『에로스와 문명』, 『일차원적 인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5월 혁명 -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수아 미테랑은 1916년에 태어나 1996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제4공화국 장관, 제5공화국 야당 지도자를 거쳐 1981년부터 1995년까지 프랑스 대통령을 역임하며 사형 폐지, 사회 정책, 유럽 협력 강화 등을 추진했다.
  • 프랑스 5월 혁명 - 리베라시옹
    리베라시옹은 1968년 프랑스 5월 혁명 당시 학생운동 선전지를 기원으로 1973년 창간된 프랑스의 좌파 일간지로, 장 폴 사르트르와 세르주 쥘리가 발행인과 초대 편집장을 맡아 노동자 경영 참여와 시민 참여를 시도하는 등 진보적인 운영 방식으로 주목받았으나, 경영난, 언론 독립성 논란, 내부 갈등, 발행 부수 감소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독일의 여성주의자 - 클라라 체트킨
    클라라 체트킨은 독일의 사회주의자, 여성 해방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제1차 세계 대전 반대 운동과 독일 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세계 여성의 날' 제정에 기여했으며, 여성 참정권 확보 투쟁, 부르주아 페미니즘 비판, 소비에트 연방과의 협력 등 여성 해방 운동을 전개했다.
  • 독일의 여성주의자 - 페트라 켈리
    독일 녹색당 창립 멤버이자 환경 운동가였던 페트라 켈리는 평화 정책, 인권, 소수자 배려를 옹호하며 독일 연방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고, 생태주의, 평화주의, 여성주의를 융합한 사회 운동을 펼치다 동거인에 의해 살해당했다.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무정부주의자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고 노동자 협동조합에 기반한 자유로운 사회를 옹호했으며, 반유대주의와 여성 차별적인 견해로 비판받았다.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5년 마르쿠제
이름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출생일1898년 7월 19일
출생지독일 제국 베를린
사망일1979년 7월 29일
사망지서독 슈타른베르크
국적독일
미국
학문 분야
관심 분야사회 이론
공산주의
사회주의
산업화
기술
학파대륙 철학
프랑크푸르트 학파
서구 마르크스주의
모교베를린 대학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주요 저서에로스와 문명 (1955년)
일차원적 인간 (1964년)
주요 사상기술 합리성
위대한 거부
일차원적 인간
노동의 자유로운 유희로서의 전환
억압적 관용
억압적 탈승화
부정적 사고
전체주의적 민주주의
개인사
배우자조피 베르트하임 (1924년 결혼, 1951년 사별)
잉에 노이만 (1955년 결혼, 1973년 사별)
에리카 셰로버 (1976년 결혼)
지도 학생앤절라 데이비스
앤드루 핀버그
폴 고트프리드
윌리엄 레이스

2. 생애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1898년 7월 19일 베를린의 유복한 유대계 가정에서 태어났다.[6]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8] 초기에는 마르틴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았으나,[58] 나치즘에 협력한 하이데거와 결별하고 프랑크푸르트 사회 연구소에 합류했다.

2. 1. 초기 생애 (1898-1933)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1898년 7월 19일 베를린에서 유대인 가족 사이에서 태어났다.[6] 그의 가족은 독일 사회에 잘 통합된 상류 중산층이었다.[6] 마르쿠제는 베를린에서 샤를로텐부르크 교외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1911년부터 1916년까지 카이저린 아우구스타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았다.[6] 1916년 독일군에 징집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베를린의 마구간에서 근무했다.[3][6] 그는 현역 복무 중에도 베를린 대학교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3] 전후 스파르타쿠스 봉기에 참여한 병사 평의회의 일원이었다.

1919년 베를린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에서 4학기 동안 공부했다. 1920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로 옮겨 독일 문학, 철학, 정치, 경제학을 공부했다.[6] 1922년 독일 ''Künstlerroman''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6] 그 후 베를린으로 돌아가 출판업에 종사했고, 2년 후 수학자 소피 베르트하임과 결혼했다.

1928년 에드문트 후설마르틴 하이데거에게 배우기 위해 프라이부르크로 돌아왔다.[7] 1932년 『헤겔의 존재론과 역사성 이론』(''Hegels Ontologie und die Theorie der Geschichtlichkeit'')을 출판했다.[7] 이 연구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삶과 역사의 존재론, 관념론적 정신 이론 및 변증법에 중점을 두었다.[7] 마르쿠제는 하이데거의 초기 저서 『존재와 시간』(1927)에 영향을 받아 마르크스주의와 하이데거의 기본적인 존재론을 종합할 가능성을 탐구했다.[22] 그는 "구체적인 철학은 동시대적 인간 존재의 진실에 관심을 갖는다"고 주장하며, 주류의 신칸트주의와 수정주의적 및 정통 마르크스주의적 대안 모두에 대한 비판했다.[23]

2. 2.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망명 (1933-1951)

1933년 나치당(Nazi Party)이 집권하면서, 유대인이었던 마르쿠제는 나치 정권 하에서 교수직을 맡을 수 없음을 알고 독일을 떠나 프랑크푸르트 사회 연구소에 합류했다.[7] 연구소는 나치의 장악에 대비하여 자금을 네덜란드에 예치했기 때문에, 마르쿠제는 실제로 프랑크푸르트에서 일한 적이 없으며,[6] 1933년 5월 나치 독일을 떠난 후 설립된 제네바(Geneva)의 분소에서 연구소의 업무를 시작했다.[7] 마르쿠제는 연구소에서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어 아도르노 등 비판 이론가들과 긴밀히 협력했다.

1934년 6월, 마르쿠제는 미국으로 망명하여[6] 1940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6] 1934년부터 1942년까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6] 1940년 마르쿠제는 헤겔과 칼 마르크스를 연구하는 변증법적 저술인 『이성과 혁명』(Reason and Revolution)을 출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마르쿠제는 먼저 미국 전쟁정보국(OWI)에서 반나치 선전 활동에 종사했다. 1943년 3월에는 중앙정보국(CIA)의 전신인 전략사무소(OSS)의 정보분석국으로 자리를 옮겨, 프랑크푸르트 학파 동료 학자인 프란츠 노이만과 함께 중앙 유럽 부서에 수석 분석가로 합류했고, 그곳에서 그는 빠르게 "독일 관련 최고 분석가"로 자리매김했다. 1945년 OSS 해체 후 마르쿠제는 미국 국무부에 중앙유럽 부서장으로 고용되어 나치즘 정보 분석가가 되었다. 마르쿠제의 보고서들을 모은 ''나치 독일 비밀 보고서: 전쟁 노력에 대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기여''(2013)가 출판되었다. 그는 1951년 첫 번째 부인이 사망한 후 은퇴했다.

2. 3. 학문적 경력과 전성기 (1952-1979)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1952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정치 철학 교수로 재직을 시작하여,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거쳐 1958년부터 1965년까지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철학과 초빙교수를 역임했다.[8] 1965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철학과 교수가 되었다.[8] 브랜다이스 대학교 재직 시절, 그의 대표작인 『일차원적 인간』(1964)을 출간하였다.[9]

1967년 베를린에서 강연하는 마르쿠제


마르쿠제는 정치사회학자 배링턴 무어 주니어와 정치철학자 로버트 폴 울프의 친구이자 동료였으며, 뉴 레프트 운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컬럼비아 대학교 사회학 교수 C. 라이트 밀스의 친구이기도 했다.[10]

전후 시대에 마르쿠제는 계급 투쟁 이론과 노동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관심을 거부하고, 인간의 에로틱한 본성의 실현을 인류 해방의 진정한 길로 여겼다.[11] 그의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특히 1955년 마르크스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종합 연구인 『에로스와 문명』과 1964년 저서 『일차원적 인간』)은 1960년대 학생 운동의 우려와 공감을 얻었다. 그는 "억압적 관용"(1965)이라는 에세이를 발표하여, 진정한 관용은 억압을 지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억압적인 (즉, 우익) 정치 운동에 대해서는 관용적이지 않은 관용의 형태를 옹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3]

마르쿠제는 1969년에 『해방에 관한 에세이』를 썼고, 1972년에는 『반혁명과 봉기』를 썼다. 1965년 브랜다이스 대학교가 그의 강의 계약 갱신을 거부한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에서 강의했다.[34] 1968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로널드 레이건과 다른 보수주의자들은 그의 재임용에 반대했지만, 대학은 그의 계약을 1970년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남은 생애를 가르치고, 글을 쓰고,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강연하는 데 바쳤다. 그는 1977년에 『미적 차원』을 출판했다.

2. 4. 사망과 유산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1979년 7월 29일, 81번째 생일 열흘 후, 독일 여행 중 뇌졸중으로 사망했다.[60] 그는 프랑크푸르트의 ''뢰머베르크게슈프래헤''(Römerberggespräche)에서 연설을 마치고 유르겐 하버마스의 초청으로 막스 플랑크 과학기술 세계 연구소로 가던 중이었다.[60] 독일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생을 마쳤으나, 그의 아내는 수많은 유태인을 불태운 독일인의 땅에서 유태인 남편을 화장하는 것을 피하고자 했다.[60] 그래서 마르쿠제의 유해는 오스트리아를 거쳐 아들이 거주하는 미국 동부 코네티컷주의 뉴헤븐에 있는 공동묘지에 안치되었다.[60]

2003년, 마르쿠제의 유해는 미국에서 재발견된 후 베를린의 도로테엔슈타트 묘지에 안치되었다.[60] 어느 네덜란드 학자가 유족들에게 "공동묘지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추도할 수 있는 곳에 고인을 모시는 것이 낫지 않는가?"라는 제안을 했고, 그 제안을 받아들인 가족들이 회의를 거쳐 헤겔, 피히테, 브레히트 등 독일 역사의 대표적인 지식인들이 묻혀 있는 베를린 도로텐슈타트 묘지를 선택했다.[60] 2003년 7월 14일, 마르쿠제는 자신에게 깊은 사상적 영향을 미친 변증법의 대학자 헤겔의 무덤 바로 옆에 안치되었다.[60]

마르쿠제는 비판적 사고의 힘과 총체적 인간 해방 및 억압적이지 않은 문명에 대한 그의 비전을 강조함으로써 뉴 레프트 학생들에게 호소력을 지녔다.[27] 그는 상품화 시스템의 압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한 학생들을 지지했으며, 영감을 주는 지적인 지도자로 여겨져 왔다.[27] 또한 1960년대 학생 운동과 반문화 운동에 대한 연구 때문에 미국 문화에 대한 프랑크푸르트 학파 비판 이론가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가 중 한 명으로 간주된다.[38] 마르쿠제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1960년대의 유산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대거부(great refusal)는 여전히 반대 세력과 개인들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27]

마르쿠제의 사상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40] 마르쿠제에게 헌정된 학술지 ''새로운 정치 과학(New Political Science)''호의 서문에서 로버트 키르쉬(Robert Kirsch)와 사라 수락(Sarah Surak)은 그의 영향력을 "살아 있고 건재하며, 사회 관계의 여러 영역에 걸쳐 여러 연구 분야에서 활발하다"고 묘사했다.[40] 마르쿠제의 '억압적 관용' 개념은 9·11 테러 이후 새롭게 주목을 받았다.[41] 억압적 관용은 또한 21세기 캠퍼스 시위와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과도 관련이 있다.[42] 마르크스 철학에 뿌리를 둔 비판 이론은 마르쿠제 영향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남아 있다.[43]

3. 사상

마르쿠제는 헤겔, 마르크스, 프로이트의 사상을 융합하여 현대 사회와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하는 독자적인 비판 이론을 발전시켰다.

잘 알려진 마르쿠제의 억압적 탈승화 개념은 전후 대중문화가 성적 자극의 범람으로 정치적 억압을 강화한다는 그의 주장을 나타낸다. 사람들이 비본질적인 성적 자극에 몰두하면 정치적 에너지는 "탈승화"되고,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건설적으로 행동하는 대신 억압되고 비판적이지 않게 된다. 마르쿠제는 전쟁 전 비판 이론의 사상을 발전시켜 유럽과 미국 부르주아 생활의 "일차원적" 본질에 대한 비판적 설명을 제시했다. 그의 사상은 데이비드 리즈먼과 같은 초기 자유주의 비평가들의 관심사를 발전시킨 것으로 여겨진다.[19][20]

마르쿠제 작품의 두 가지 측면이 특히 중요하다. 첫째, 선진 산업 사회의 발전을 특징짓는 데 소비에트 또는 나치 정권 비판에서 더 익숙한 언어를 사용한 점이다. 둘째, 정신 분석적 사고의 특정한 사용에 비판 이론을 근거로 한 점이다.[21]

'부정의 철학'을 근간으로 하여, 1960년대신좌파의 아버지라 불린다.[55]

3. 1. 주요 개념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현대 산업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인간 소외와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추구한 철학자이다. 그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마르쿠제는 현대 사회에서 기술 발전과 소비 문화가 인간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마비시키고, 획일화된 사고와 행동 양식을 강요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현상을 그는 "일차원적 인간"[19][20]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즉, 사람들은 비본질적인 성적 자극에 몰두하여 정치적 에너지가 "탈승화"되고,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건설적으로 행동하는 대신 억압되고 비판적이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19][20]

또한 마르쿠제는 진정한 관용은 억압적인 사상과 행동을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억압적 관용"[32]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사회적 약자를 억압하는 권력을 용인하지 않는 '억압적 관용'을 옹호하며, 억압적인 발언에 대한 관용은 "비진실된 것"이라고 비판했다.[32] 그는 우익 정치 운동에 대해서는 불관용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3]

마르쿠제는 기존 체제와 질서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와 저항을 의미하는 "대거부(Great Refusal)"[55]를 통해 사회 변혁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존 가치와 규범에 대한 근본적인 부정과 새로운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르쿠제는 1969년 『해방에 관한 에세이』를 통해 베트남의 운동과 같은 해방 운동을 기념하였고, 1972년 『반혁명과 봉기』에서는 1960년대의 희망이 우익으로부터의 반혁명에 직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1977년에는 부르주아 사회로부터의 "해방" 과정에서 예술의 역할에 대한 그의 마지막 작품 『미적 차원』을 출판했다.

3. 2. 자본주의 비판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카를 마르크스의 객관화 개념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했다.[25] 그는 자본주의와 산업화가 노동자들을 상품 생산의 연장선으로 전락시켜 소외를 심화시킨다고 주장했다. 마르쿠제는 "사람들은 자신의 상품 속에서 자신을 인식한다. 그들은 자신의 자동차, 하이파이 세트, 분할 수준 주택, 주방 장비에서 자신의 영혼을 발견한다"[26]고 언급하며,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은 상품의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일차원적 인간'으로 전락한다고 보았다.[27]

마르쿠제는 현대 기술이 본질적으로 억압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자본주의 사회와 공산주의 사회 모두에서 노동자들이 기술 발전의 억압 메커니즘 때문에 자신의 삶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즉 기술의 발전 때문에 그들은 곧 실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게 했다.

마르쿠제는 소비주의의 압력이 노동 계급을 자본주의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시켰다고 보았다.[28] 노동 계급은 더 이상 혁명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상실했고, 그들의 정당과 노동 조합은 관료화되었으며, 부정적 사고 또는 비판적 반성의 힘은 급격히 감소했다.[28]

마르쿠제는 혁명의 주체를 노동 계급 대신,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들, 추방자와 아웃사이더의 하층, 착취당하고 박해받는 다른 민족과 다른 색깔의 사람들, 실업자와 고용 불가능한 사람들과 같은 집단에서 찾았다.[27] 이들은 일차원적 사회에 통합되지 않은 채, 기존 체제에 대한 저항을 통해 혁명적 의식을 가진다고 보았다.[27] 그는 '부정의 철학'을 근간으로 하여, 1960년대신좌파의 아버지라 불린다.[55]

3. 3. 페미니즘과의 관계

마르쿠제는 사회 개혁이 사회의 소외된 계층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페미니즘 운동과 같은 운동을 지지했다.[6] 생애 말년에 페미니즘에 특히 관심을 가졌는데, 1974년 "마르크시즘과 페미니즘"이라는 강연에서 그 이유를 설명했다.[35] 그는 여성 해방 운동이 가장 중요하고 잠재적으로 가장 급진적인 정치 운동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36]

마르쿠제 저작의 많은 주제와 야망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에서 구현되었는데, 특히 『에로스와 문명』에서 발전된 사상이 그러했다.[35] 여기에는 사회의 구조적 권력 관계뿐만 아니라 개별 인간의 본능적 충동의 변화도 포함되었다. 그는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를 긍정적이며 여성 해방의 필요조건으로 간주했지만, 진정한 자유를 위한 충분조건으로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는 공격적이고 남성적인 특성에서 여성적인 특성으로 도덕적 가치관이 변화되기를 바랐다.[35][6]

제시카 벤자민(Jessica Benjamin)과 낸시 초도로우(Nancy Chodorow)는 마르쿠제가 사회 변혁에 대한 욕구의 근원으로 프로이트의 본능 이론에 의존하는 것은 개인의 주관간적 성장을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충분하다고 생각했다.[6]

4.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5. 저작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헤겔의 존재론과 역사성 이론』 (1932)을 시작으로, [44] [45] 『이성과 혁명: 헤겔과 사회이론의 부상』 (1941),[44] 『에로스와 문명: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탐구』 (1955),[44] 『소비에트 마르크시즘: 비판적 분석』 (1958),[44] [46]『일차원적 인간: 고도 산업사회 이데올로기 연구』 (1964),[44] 『순수 관용에 대한 비판』 (1965),[44] 『부정: 비판 이론 에세이』 (1968), 『해방에 관한 에세이』 (1969),[44] 『강연 다섯 편』 (1969), 『반혁명과 봉기』 (1972),[44] 『미학적 차원: 마르크스 미학 비판을 향하여』 (1978) 등을 저술했다.[44]

1932년에 출간된 『헤겔의 존재론과 역사성 이론』은 독일어로 쓰였으며, 영어판은 1987년에 출판되었다.[44] [45] 1936년에는 『권위와 가족에 관한 연구』를 독일어로 출판하였고, 1987년과 2005년에 재출판되었다. 마르쿠제는 이 900페이지 분량의 연구에서 100페이지 조금 넘는 부분을 집필했다.

『이성과 혁명: 헤겔과 사회이론의 부상』(1941)에서 마르쿠제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해 소외론으로서의 견해를 제시했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인간 해방의 구상을 전개한 『에로스와 문명: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탐구』(1955)는 여러 차례 중판되었다. 『소비에트 마르크시즘: 비판적 분석』(1958)을 통해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다.[46]

『일차원적 인간: 고도 산업사회 이데올로기 연구』(1964)에서는 부정적 계기를 상실하고 있는, 전체주의적 관리 사회를 비판했다. 『순수 관용에 대한 비판』(1965)에서는 로버트 폴 월프 등의 에세이와 함께 "억압적 관용" 에세이를 수록했다. 여기서 권력자나 사회적 강자의 부정에 무력한 ‘소극적 관용’(passive tolerance)을 비판하고, 사회적 약자를 학대하는 권력을 용인하지 않는 ‘억압적 관용’(repressive tolerance)을 주장했다.

그 외에도 『부정: 비판 이론 에세이』 (1968), 『해방에 관한 에세이』 (1969), 『강연 다섯 편』 (1969), 『반혁명과 봉기』 (1972), 『미학적 차원: 마르크스 미학 비판을 향하여』 (1978) 등을 저술하였다.

6. 비판

레셰크 콜라코프스키는 마르쿠제가 헤겔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을 무시하고 계급 투쟁의 역사적 이론을 완전히 버렸다고 비판하며, 그의 견해가 본질적으로 반마르크스주의적이라고 설명했다.[37] 콜라코프스키는 마르쿠제의 이상적인 사회는 "계몽된 집단, 즉 그들 자신 안에서 로고스와 에로스의 통일성을 깨닫고 논리, 수학 및 경험 과학의 성가신 권위를 벗어던진 집단에 의해 전제적으로 지배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37]

철학자 앨리스테어 매킨타이어는 마르쿠제가 소비자들이 기업 광고에 비판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완전히 수동적이라고 잘못 가정했다고 비판했다.[7] 매킨타이어는 마르쿠제가 정통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며,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다른 학자들처럼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비판 이론"에 대해 썼고, 이것이 우파 헤겔리안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매킨타이어는 마르쿠제를 "마르크스 이전의 사상가"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매킨타이어는 마르쿠제가 발전된 산업 사회에 대해 가정한 것이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잘못되었으며, "마르쿠제는 자유와 이성이라는 위대한 이름을 언급하면서 중요한 모든 지점에서 그 본질을 배반한다"고 결론지었다.

참조

[1] 웹사이트 Essential Marcuse http://www.sfu.ca/~a[...] 2020-10-07
[2] 웹사이트 The Frankfurt School and Critical Theory https://www.iep.utm.[...]
[3] 서적 Social Theory: The Multicultural and Classic Readings Westview Press
[4] 서적 A Survey of Modern Soci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Rise of Cultural Elites and the Decline of America's Civic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0-31
[6] 웹사이트 Herbert Marcuse https://plato.stanfo[...] 2018-04-10
[7] 웹사이트 Illuminations: Kellner http://www.uta.edu/h[...] 2012-10-01
[8] 뉴스 Occupy This: Is It Comeback Time for Herbert Marcuse? https://www.chronicl[...] 2011-12-11
[9] 서적 Key Contemporary Social Theorists Blackwell Publishers
[10] 서적 One-Dimensional Man Beacon Press
[11]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2] 학술지 The Temptation of Herbert Marcuse https://www.jstor.or[...]
[13] 웹사이트 Tom Bourne (Sept. 1979) http://www.marcuse.o[...] 2017-10-31
[14] 웹사이트 Protosozialismus und Spätkapitalismus. Versuch einer theoretischen Synthese von Bahros Ansatz (von Herbert Marcuse) http://www.opentheor[...] Open theory 2013-09-06
[15] 웹사이트 Sophie Wertheim (1901–1951) http://www.marcuse.o[...] Marcuse.org 2013-09-06
[16] 웹사이트 Erica Sherover-Marcuse (1938–1988) http://www.marcuse.o[...] Marcuse.org 2013-09-06
[17] 웹사이트 Herbert Marcuse https://www.encyclop[...] 2021-10-23
[18] 웹사이트 Inge Neumann (1913–1973) http://www.marcuse.o[...] Marcuse.org 2018-07-05
[19] 서적 Key Contemporary Social Theorists https://books.google[...] Wiley 2013-09-06
[20] 서적 Postemotional Society Sage
[21] 서적 Key Contemporary Social Theorists Blackwell Publishing
[22] 서적 Heideggerian Marxism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3] 서적 Hegel's Ontology and the Theory of Historicity MIT Press
[24] 서적 Heideggerian Marxism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5]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Ob http://www.marxists.[...] Marxists.org 2013-09-06
[26] 웹사이트 marcuse.org (quotations) http://www.marcuse.o[...] 2009-10-14
[27] 서적 The A–Z Guide to Modern Social and Political Theorists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2020-11-06
[28] 웹사이트 SEP https://plato.stanfo[...] 2018-09-02
[29] 서적 Tales from the Freudian Crypt: The Death Drive in Text and Context Stanford University Press
[30] 뉴스 Rhetoric Vs. Reality: Angela Davis tells why black people should not be deceived by words https://books.google[...] Johnson Publishing Company 1971-07
[31] 서적 Noam Chomsky: A Life of Dissent https://books.google[...] MIT Press
[32] 웹사이트 marcuse.org (books about) http://www.marcuse.o[...] 2006-08-28
[33] 웹사이트 Repressive Tolerance, by Herbert Marcuse (1965) http://www.marcuse.o[...] Marcuse.org 2013-09-06
[34] 뉴스 William McGill, 75, President Who Led Columbia After Years of Distress, Dies 1997-10-21
[35] 학술지 Marcuse and Feminism Duke University Press
[36] 논문 Marxism and feminism https://platypus1917[...]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Ltd.
[37]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A Survey of Modern Soci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39] 논문 Marx, Marcuse, and Psychoanalysis: Do They Still Fit after All These Years? https://www.jstor.or[...]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23-10-05
[40] 논문 Introduction, Marcuse in the Twenty-First Century: Radical Politics, Critical Theory, and Revolutionary Praxis
[41] 논문 Repressive Tolerance: Herbert Marcuse's Exercise in Social Epistemology
[42] 논문 The Counterrevolutionary Campus: Herbert Marcuse and the Suppression of Student Protest Movements
[43] 논문 The Unknown Herbert Marcuse https://www.jstor.or[...]
[44] 서적 Hegels Ontologie und die Grundlegung einer Theorie der Geschichtlichkeit Frankfurt
[45] 서적 MIT Press
[46] 문서 The Vintage 1961 reprint "inexplicably" (Kellner, p. xi, n. 8) omits Marcuse's 13-page "Introduction" in the 1958 original issue by Columbia University, whose complete 1985 edition contains a new 11-page "Introduction" by Douglas Kellner, yet this edition omits Marcuse's 12-page "Preface to the Vintage Edition" of 1961.
[47] 문서 Marcuse's review of 1844 writings by Karl Marx, which were later translated as ''Economic and Philosophical Manuscripts''.
[48] 문서 Marcuse's review was translated by Joris de Bres in 1972 as "The foundation of historical materialism", and included at pp. 1–48 in Marcuse, ''From Luther to Popper'' (London: New Left Books 1972, London: Verso 1983).
[49] 서적 Early Writings Vintage
[50] 웹사이트 Book Review: Herbert Marcuse's An Essay on Liberation Herbert Marcuse's An Essay on Liberation http://www.marcuse.o[...] Marcuse.org 2013-09-06
[51] 웹사이트 Herbert Marcuse https://plato.stanfo[...] 2018-09-02
[52] 웹사이트 ヘルベルト マルクーゼとは https://kotobank.jp/[...] 2021-10-11
[53] 서적 フランクフルト学派のナチ・ドイツ秘密レポート 미스즈쇼보
[54] 간행물 ジョン・ダワーのノーマン再評価で日本悪玉論拡散 https://cir.nii.ac.j[...] 와크
[55] 웹사이트 Illuminations: Kellner http://www.uta.edu/h[...] 2012-10-01
[56] 웹사이트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공식 웹페이지 http://www.marcuse.o[...] 2013-04-23
[57] 서적 살림지식총서《허버트 마르쿠제》 살림
[58] 서적 이성과 혁명 중원문화 2008-10-30
[59] 뉴스 마르쿠제, 헤겔 옆에 묻혀 死後24년 만에 베를린 안장 https://news.naver.c[...] 매일경제(네이버) 2013-05-30
[60] 서적 20세기 인물 100과 사전 숨비소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